Copyright 2018 HanmiGlobal Co.,LTD All Rights Reserved.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확인 닫기

행복한 사람은 건강하며, 인간관계가 좋고, 생산성도 높고, 창의력이 넘친다고 한다. 2018년 스페셜 테마는 한미글로벌의 고유 기업 문화인 ‘행복경영’ 정착을 위해 행복을 주제로 몇 가지 실천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행복에 대해 긍정 심리학자들이 밝혀낸 여러 사실을 짚어본 뒤, 자신에게 맞는 행복 전략을 찾아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찾아가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

글_편집자 주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행복 측정법 중 하나인 주관적 행복 척도에 관한 질문이다. 아래 문장이나 질문을 읽고 자신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다고 여겨지는 점수 하나를 선택해보자.

1. 일반적으로 나 자신을 생각하면.
매우 행복한
사람은 아니다
  • 1
  • 2
  • 3
  • 4
  • 5
  • 6
  • 7
매우 행복한
사람이다
2. 대부분의 내 연배와 비교해 나 자신을 생각하면.
덜 행복하다
  • 1
  • 2
  • 3
  • 4
  • 5
  • 6
  • 7
더 행복하다
3. 대체로 늘 행복한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어떤 일이 닥쳐도 삶을 즐기고
모든 것을 최대한 누리면서 산다. 자신이 이런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 1
  • 2
  • 3
  • 4
  • 5
  • 6
  • 7
매우 그렇다
4.또 대체로 그리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꼭 우울한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행복을 맘껏 누리며 사는 것 같지도 않다. 자신이 이런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매우 그렇다
  • 1
  • 2
  • 3
  • 4
  • 5
  • 6
  • 7
전혀 그렇지 않다
내 점수보기
?


위 4개 항목에 대한 점수를 모두 더한 뒤 4로 나누면 당신의 점수다. 당신의 점수는 1(전혀 행복하지 않다)과 7(매우 행복하다) 사이에 있을 것이다. 평균 점수는 4.5~5.5다. 대학생들의 경우 평균 분포의 낮은 쪽을 주로 차지하고, 연령이 높은 사람들은 조금 높은 쪽에 속한다.

행복한 사람들의 몇 가지 특징

행복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이 원하는 욕구와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다. 심리학자들이 정의하는 행복은 ‘긍정적인 일은 많이, 부정적인 일은 적게 경험하는 삶’이다. 또한 산다는 것이 기쁘고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것도 행복이라고 한다. 평온한 마음에서 오는 잔잔한 기쁨에서부터 날아갈 것 같은 강렬한 기쁨까지 이 모든 감정을 아울러 우리는 행복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행복을 느끼는 정도가 사람마다 제각각 다르다는 사실이다.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인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한 사람을 알아보는 가장 확실한 기준 중 하나는 인간관계라고 한다. 행복한 사람들은 탄탄한 유대관계를 맺고, 그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공을 들인다. 자기가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남을 위해 일을 해주고, 고맙다는 말을 잊지 않는 것도 그들만의 특징이다. 삶을 의미 있다고 생각하고 삶의 목표에 충실한 사람,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고 적절한 운동을 하며 현재를 즐기는 사람, 적당히 낙천적이면서도 현실 감각은 유지하는 사람이 바로 행복한 사람들이다. 물론 그들처럼 살다 보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 처할 때도 있다.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부딪히다 보면 상처를 받거나 위기의 순간도 만나게 된다. 하지만 이를 헤쳐나갈 능력이 충분히 있다는 것 또한 행복한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특징 중 하나다.

우리가 행복해야 하는 이유

우리는 왜 행복해지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걸까? 우선, 행복해지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행복한 사람들은 친구도 많고, 사람들과 교감을 하며 지낸다. 신체적, 정신적 건강 면에서도 행복한 사람들의 면역 체계가 더 튼튼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행복한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뿐 아니라 더 오래 산다고 한다.

수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그 결과가 놀랍다. 연구자들은 수녀원에 들어가기 전 여성들에게(당시 20대) 180개의 간략한 자전적 글을 받았고, 그 글을 분석해 긍정적 표현을 한 횟수를 확인했다. 50년 후, 20대 때 긍정적 표현을 많이 한 수녀들이 80대, 90대까지 살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가장 긍정적이고 행복한 표현을 많이 한 상위 25%의 수녀 중 90%가 85세까지 생존해 있었다. 이에 비해 하위 25%의 수녀들은 34%만이 85세까지 생존해 있었다. 또 상위 그룹 수녀들의 54%가 95세까지 장수를 누렸다. 이처럼 긍정적인 수녀들이 오래 살 수 있었던 이유는 스트레스나 부정적인 태도로 인해 올 수 있는 신경성 질환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켄터키 대학 심리학과 교수 수잔 서저스톰(Suzanne Segerstom) 연구팀은 행복하고 긍정적인 학생들이 비관적인 학생들보다 기말고사와 같은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건강을 더 잘 유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행복한 사람들이 주어진 환경에 잘 대처한다는 의미다.

행복한 사람들은 건강하고, 사회적으로도 적응을 잘할 뿐 아니라 창의적이기도 하다. 코넬 대학 심리학과 교수 앨리스 아이센(Alice Isen)은 사람들이 행복할 때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유연한 사고를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예를 들어, 행복한 사람들은 비관적인 사람들보다 클립과 같은 일상적인 물건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생각해낸다. 행복하다는 긍정적인 느낌은 주변에 자신을 위협하는 것이 없는 상황에서 나오는 감정이므로 주변을 더 탐색해도 괜찮다는 마음을 갖게 된다. 반면, 부정적인 느낌은 주변에 무언가 이상이 있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는 신호를 주기에 늘 경계 태세를 갖출 수밖에 없다. 기쁨, 호기심, 자부심 같은 긍정적 정서가 삶을 행복으로 이끌고, 또 성공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인 셈이다.

더 행복해지기 위한 필요조건

‘환경이나 조건이 바뀌면 더 행복할 거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환경이나 조건이 행복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밖에 되지 않는다. 텍사스 대학의 데이비드 슈케이드(David Schkade) 교수와 노벨상을 수상한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은 캘리포니아 남부 지역과 미 중서부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얼마나 행복한지, 서로의 지역을 바꿔서 살면 얼마나 행복할지 상상하게 한 뒤 행복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두 지역 학생들의 행복도는 비슷했다. 하지만 두 그룹 모두 캘리포니아에 사는 게 더 행복할 것이라고 답했다. 아마도 따뜻한 기후가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돈이 많으면 더 행복한 거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수많은 연구를 통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그 이후에는 돈이 많다고 더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리는 무엇이 스스로를 행복하게 하는지 잘 모르기에 큰 집, 좋은 차, 멋진 옷과 새로 출시된 전자기기에 매달린다. 이런 물건으로 얻은 기쁨은 금세 시들해지기 마련이다. 돈과 행복이 비례하지 않는 두 번째 이유는 늘 남과 비교하기 때문이다. 나보다 나은 조건을 가진 사람들과 비교하다 보면 어느새 눈만 높아져 현실에 불만이 가득해진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지금보다 행복해질 수 있을까? 행복 연구자들은 사람마다 타고난 행복의 기본값이 정해져 있는데, 이는 전체 행복의 50% 정도라고 한다. 즉, 행복의 50%가 유전적 요인이라면 나머지 행복의 50%는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얘기다. “행복이란 삶을 즐겁게 사는 것뿐 아니라 집에서나 직장에서나 더 성공적이고 보람 있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익히는 것”이라고 말하는, 《행복의 정석》의 저자 소냐 류보머스키는 행복에도 연습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어떻게 마음먹고 행동하느냐에 따라 행복의 무게가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자, 이제 행복해지기 위한 마음의 준비가 되었는가?

참고 서적 《행복의 정석》, 소냐 류보머스키 저, 블룸컴퍼니 출판

A number of execution strategies to settle “happy management” in, a unique company culture of HanmiGlobal, will be introduced for the 2018 special theme. The definition of happiness is “feeling satisfied or content due to fulfillment of one’s desire or needs”. Psychologists define happiness as “a life with many positive tasks and little negative tasks”. Also, realizing the joy and value of life can also be happiness. We view from the subtleness we find in our emotions to the vivid energy that lets us be on cloud nine as happiness. A happy person is healthy, has a good human-relationship, and has high productivity and creativity. According to Sonya Lyubomirsky, the author of Positively Happy, “happiness is not only living your life excitedly but also learning the necessary techniques to become more successful at work and identifying the value in life.” She also states that it is necessary to practice in becoming happy. In other words, your happiness depends on how much you devote yourself to happiness. We need to find a happiness strategy that is tailored to each individual, and find the true meaning of happiness.

과월호 닫기

Excellent 과월호